반응형

일본어 10

일본어 기초 문법 4 | 의문문 만들기 기초 정리

≣ 목차 처음 일본어를 배우면 가장 먼저 외우는 말 중 하나가 바로「これは なんですか(코레와 난데스카)」 즉, “이것은 무엇입니까?”라는 표현이다. 짧고 쉬워 보이지만, 이 안에도 일본어 문법의 기본 구조가 다 들어 있다. 이번 글에서는 일본어 의문문을 만드는 기본 규칙을 정리했다.앞에서 배운 「です」와「は」, 그리고 これ・それ・あれ만 이해하고 있다면지금부터 어떤 질문도 스스로 만들 수 있다. 일본어 의문문은 ‘문장 + か’로 끝낸다 일본어에서 질문을 만들 때는 문장 끝에 「か」만 붙이면 된다.다른 구조는 바뀌지 않고, 말투만 그대로 두고 ‘의문’의 뉘앙스만 추가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これは ペンです。(코레와 펜데스) → 이것은 펜입니다.これは ペンですか? (코레와펜데스카) → 이것은 펜입니까? 딱 「..

일본어 12:20:19

일본어 기초 문법 3 | 이것은 ○○입니다 – これ・それ・あれ!

≣ 목차 일본어를 배우면서 자주 듣는 단어가 있다. 바로 코레(これ), 소레(それ), 아레(あれ).이것, 그것, 저것이라는 뜻이다. 한자도 없고, 딱 세 글자인데…처음엔 이게 뭐가 뭔지 너무 헷갈린다. 어떻게 외워야 할까? これ, それ, あれ의 기본 개념표현의미기준これ (코레)이것내(화자) 가까이 있는 것それ (소레)그것듣는 사람 가까이 있는 것あれ (아레)저것둘 다 멀리 있는 것 먼저 「これ」는 말하는 사람(나)에게 가까운 것을 가리킬 때 사용한다.내가 들고 있는 물건, 내 앞에 있는 컵 같은 경우다. 「それ」는 듣는 사람(상대방)에게 가까운 것을 가리킬 때 사용한다.예를 들어, 상대방이 들고 있는 책이나 앞에 있는 가방 같은 경우다. 그리고 「あれ」는 말하는 사람과 듣는 사람 둘 다에게서 먼 것을 말..

일본어 12:07:46

일본어 기초 문법 2 | 일본어 문장의 시작, ‘は(와)’ 조사부터 배워보자

≣ 목차 일본어 회화책 첫 페이지는 언제나「はじめまして(처음 뵙겠습니다)」로 시작한다. 일본어에서도 자기소개는 중요하기 때문이다. 그 다음 이어지는 문장은 “이름은 ○○입니다”라는 자기소개다!일본어로는 와타시와 OO데스 (わたしはOOです。) 여기서 처음으로 일본어 조사は(와)를 접하게 된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は(와)의 역할과 쓰임을 짚어보고자 한다. ‘이름은 ○○입니다’를 일본어로 하면?기왕 자기소개 이야기가 나온김에 일본어로 자기소개를 해보자. 일본어에서는 자기소개를 할 때이름(Given name)보다는 성(Family name)만 말하는 경우가 많다. 김씨일 경우,わたしの なまえは キムです。와타시노 나마에와 키무데스. 제 이름은 김입니다라고 말 할 수 있다. 이씨면 리(り), 박씨면 파쿠(ぱく)...

일본어 2025.04.24

일본어 기초 문법 1 | 「です」와 「だ」의 차이 – 정중체 vs 보통체! 쉽게 정복하기

≣ 목차 일본어를 공부하다 보면같은 뜻인데 말 끝이 다른 문장을 자주 만나게 된다. 예를 들어,わたしは学生です。(와타시와 각세이 데스)わたしは学生だ。(와타시와 각세이 다)둘 다 “나는 학생입니다”라는 뜻이지만.「です(데스)」와 「だ(다)」, 도대체 뭐가 다른 걸까? 둘 다 문법적으로는 같은 의미지만 말하는 상황, 말투, 듣는 사람에 따라 쓰임이 다르다. 「です」는 ‘정중한 말’, 「だ」는 ‘보통체’한국어처럼 일본어에도 말하는 상대와 상황에 따라 말투를 바꾸는 문화가 있다. 이걸 경어(敬語:케이고)라고 하는데,그 중에서도 가장 기본이 되는 게 바로 정중체(です・ます체)다. 「です(데스)」 정중체→ 낯선 사람, 윗사람, 회사나 학교 등 공적인 자리에서 사용→ 깔끔하고 부드러운 인상을 줌 「だ(다)」 보통체→..

일본어 2025.04.23

일본어 문장의 기본 구조 – 말 끝이 중요한 이유

≣ 목차 처음 일본어를 공부할 때많은 사람들이 생각보다 금방 친숙함을 느낀다. 그 이유 중 하나는 일본어 문장이 한국어와 어순이 거의 같기 때문이다. 일본어 기본 문장구조 일본어는 기본적으로 주어 → 목적어 → 동사 순서로 문장이 만들어진다. 한국말과 구조가 동일해서 비교적 배우기 쉬운 외국어라고도 불리운다.이걸 SOV 구조라고 부르는데, 영어의 SVO(주어 → 동사 → 목적어) 구조와는 다르다. 예를 들어,私はりんごを食べます。(나는 사과를 먹습니다) 이 문장에서私는 주어 (나)りんごを는 목적어 (사과를, 을/를)食べます는 동사 (먹습니다)즉, 일본어 문장은 “누가 무엇을 한다”에서 ‘한다’가 항상 맨 뒤에 온다는 걸 꼭 기억하자.일본어에서 문장 끝이 중요한 이유 일본어는 동사나 형용사가 문장 끝에 오기..

일본어 2025.04.23

토익형 일본어 능력 시험 JPT에 대해서 알아보기

≣ 목차 일본어를 공부하다 보면 어느 순간 자격증 하나쯤 따볼까?라는 생각이 든다. 이때 가장 먼저 떠오르는 시험은 단연 JLPT일 것이다.그러나 이와 쌍두마차를 이루는 시험이 있으니 바로 JPT다. JPT는 토익과 유사한 (990점 만점)시험이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JPT의 특징과JLPT와 차이에 대해서 알아보겠다. 1. JPT란? JPT는 Japanese Proficiency Test의 약자로,한국 YBM이 주관하는 일본어 능력 평가 시험이다. JLPT가 일본 정부·국제기관 주관의 시험이라면,JPT는 실용성과 채점 편의성을 고려한 한국형 일본어 시험이다. JPT의 가장 큰 특징은 바로 점수제(990점 만점)라는 것이다.그래서 합격, 불합격이 없다. 토익처럼 청해 495점 + 독해 495점으로 구성돼어..

일본어 2025.04.13
반응형